종합소득세 신고 몇 번을 해도 헷갈린다. 어쩌서, 할 때마다 달라지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올해 회사에서 연말 정산을 하고 난 후 지난해 사업소득 기타 소득에 대해서 신고하기 위해 5월까지 기다렸다.
그랬는데 올해는 이전에 본적 없던 팝업창이 떴다. '000님은 모두채움 (환급)으로 안내받았습니다'란 메시지와 함께. 국세청 보유자료로 맞춤형 신고서를 나 대신 홈텍스가 미리 작성했다는 거다. 그 결과 환급받을 세액은 약 13만 원.
참고로 여전히 나도 헷갈리고, 많이 어려워 하는데 종합소득세 신고 결과 마이너스 금액이 뜨면 내가 국가로부터 돌려받는 '환급'이 진행되고 플러스 금액이 뜨면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하지만, 이건 삼쩜삼 세무사 직접 검토한 내역과 달랐다. 세금은 환급 받고 납부하고 가 문제가 아니다. 괜히 나중에 큰일 생기지 않으려면 법대로, 정확하게 주고받는 게 중요하다. 나 같은 겁쟁이한테, 이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이다.
나중에 가서, 저는.. 홈택스 저 놈이 주는 대로 받았는데, 왜 제가 책임을 져야 하나요..라고 해도 들어줄 리 만무하다.

결국 모두채움 환급이고 자시고 원래 하던데로 종합소득세 신고 > 일반 신고 > 정기신고 루트를 따라 진행하기로 했다. 아직.. 어리다고 생각했음에도 그래도 원래 하던 대로 하는 게 편해..라는 마음 한가득
소득종류는 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 다 체크! 주민등록번호 조회하면 나의 소득종류 찾기에서 사실상 알아서 체크돼서 나온다. 이 다음 페이지도 조회 > 확인 > 저장 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쭉쭉쭉~
종합소득세 신고 소득공제명세서 여기가 너무 헷갈렸다. 나는 올해 3월 회사에서 근로소득 연말정산 완료한 상태이다. 그럼 이걸 불러와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 왜냐면 이전에 신고하는 근로소득에는 연말정산 완료한 현 회사의 정보는 제외했기 때문이다. 이미 연말정산에서 현 직장의 근로소득은 신고를 완료했으니 말이다.
홈택스를 보면 이런게 참 불친절하다. 저기에 말풍선이라도 달아서 '올해 3월 현재 직장에서 연말정산 완료한 사람은 그 신고 내역 이 버튼 클릭해서 불러오셔야 해요'라고 설명해 주면 좀 좋은가.
어쨌든 그렇게 순차적으로 쭉쭉 진행한 결과, 엥?!!!!!! 무려 100만원 가량 환급받게 됐다. 어떻게 이럴 수가! 정말 너무 차이가 많이 난다. 모두채움이랑 결과가 너무 달라서, 어제 해보고 오늘 다시 해보았다. 이거 저거 용어도 내가 이해하는 게 맞나 다시 확인해보고..
왜냐면 위에 적혀 있다 시피 '납부 세액을 적게 신고하거나 환급 세액을 많이 신고한 경우 가산세 부과 대상'이라고 하니깐.
그런데 사실 홈택스에서 할 때 내가 뭘 숫자를 입력하는 건 거의 없다. 그냥 조회 > 확인 > 클릭 일뿐. 오히려 공제액이 초과했으니 연금, 의료, 교육비는 다 0원으로 입력하라고 해서 꾹꾹 0원으로 입력했을 뿐.
어쨌든 그렇게 국세 종합소득세 신고 마쳤고 여기서 홈택스 끄면 안 된다. 왜냐면 개인 지방 소득세 신고는 또 따로 해야 되니깐.
종소세 신고 완료 후 '신고내역 조회(접수증) 클릭하면 개인 지방 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로 바로 연결된다. 여기서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방금 한 종소세 신고 내역이 나온다. 여기서도 클릭, 클릭만 하면 끝!
결과적으로 요 위택스 wetax 화면까지 봐야 2023년 종합소득세 신고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황이다. 작년에도 정신없이 헤매면서 했는데 올해는 근로소득 연말 정산 완료한 상황에서 한 거라서 더 헷갈렸다.
아예 세무사 끼고 하라는 사람도 있었는데, 내가 무슨 프로 유튜버도 아니고, 수익이 많은 것도 아니고.. 너무 비싸다. 이번에 보니깐 삼쩜삼도 믿을 수 없다. 어쨌든 끝!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홈택스 세금포인트 조회 혜택 할인 쇼핑몰 후기 (0) | 2023.06.02 |
---|---|
춘천 피부과 아쿠아필 블랙헤드 피지 제거 시술 가격 & 후기 (0) | 2023.05.15 |
하나은행 청년내일저축계좌 간편 자격 조회 후기 & 결과 (1) | 2023.05.10 |
검색용 친구찾기 가능한 카카오톡 ID 확인 방법 (2) | 2023.01.24 |
하나은행 월세 소득공제 등록 PC 사이트 안될 때 모바일 간편 신청 방법 (1) | 2023.01.18 |